🖥 CS/네트워크

인터넷의 작동원리

0_ch4n 2022. 4. 11. 22:45
반응형

✔️ 요약

인터넷은 웹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인프라인 웹의 중추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인터넷은 함께 통신하는 대규모 컴퓨터 네트워크입니다.

 

✔️ 간단한 네트워크

두 대의 컴퓨터가 통신해야 하는 경우 물리적(이더넷 케이블) 또는 무선(WiFi or Bluetooth)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두 대의 컴퓨터로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만큼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컴퓨터를 연결하게 되면 복잡해지게 됩니다.

예를 들면 10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컴퓨터당 9개의 플러그가 있는 45개의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각 컴퓨터는 라우터라고 하는 특별한 작은 컴퓨터에 연결됩니다.

라우터는 단 하나의 작업만을 수행합니다.

컴퓨터 B에 메시지를 보내려면 컴퓨터 A가 메시지를 라우터로 보내야 하며 라우터는 메시지를 컴퓨터 B로 전달하고 메시지가 컴퓨터 C로 전달되지 않도록 합니다.

시스템에 라우터를 추가하면 10대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10개의 케이블만 필요하게 됩니다.

 

✔️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어느 정도 복잡한 문제는 해결됐지만 수십억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게 되면 또 복잡해지게 됩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 라우터와 다른 라우터를 연결하여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구성한 네트워크는 우리가 인터넷이라고 부르는 것에 가까워졌지만 지구 반대편에 있는 지역과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엔 무리가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우리가 원하는 네트워크로 구성 돼있는 전력 및 전화와 같은 시설에 이러한 네트워크를 연결해야 합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모뎀입니다. 모뎀은 우리 네트워크의 정보를 전화 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정보로 바꾸고 그 반대로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의 네트워크는 전화망이 연결되어 있다면 어디서든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선 네트워크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연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LG U+, KT, SKT 등과 같은 ISP가 있습니다.

ISP는 모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ISP의 라우터에도 액세스할 수 있는 특수 라우터를 관리하는 회사입니다.

따라서 우리 네트워크의 메시지는 ISP 네트워크를 통해 대상 네트워크로 전달됩니다.

인터넷은 이러한 전체 인프라로 구성되고 ISP는 중간에서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역할입니다.

 

✔️ 인트라넷 및 엑스트라넷

인트라넷은 특정 조직의 구성원으로 제한된 사설 네트워크입니다.

일반적으로 구성원이 공유 리소스에 안전하게 액세스하고 협업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포털을 제공하는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조직의 인트라넷은 부서 또는 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웹페이지, 주요 문서 및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공유 드라이브, 비즈니스 관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포털, Wiki, 토론 게시판 및 메시징 시스템과 같은 공동 작업 도구를 호스팅합니다.

 

엑스트라넷은 다른 조직과의 공유 및 협업을 허용하기 위해 사설 네트워크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개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인트라넷과 매우 유사합니다.

일반적으로 비즈니스와 긴밀하게 협력하는 고객 및 이해 관계자의 정보를 안전하게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인트라넷과 엑스트라넷은 모두 인터넷과 동일한 종류의 인프라에서 실행되며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다른 물리적 위치에서 승인된 구성원만이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참고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Learn/Common_questions/How_does_the_Internet_work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