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_ch4n
기계쟁이\n개발자
0_ch4n
0chn.xxx@gmail.com @0ch._.n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공지사항

  • All (282)
    • 🖥 CS (21)
      • 네트워크 (12)
      • 운영체제 (3)
      • 자료구조 (2)
      • Web (4)
    • 🧠 Algorithm (185)
      • [C] BOJ (93)
      • [JAVA] Programmers (91)
    • 📚 Study (69)
      • HTML&CSS (19)
      • MySQL (11)
      • JAVA (22)
      • Servlet&JSP (8)
      • Thymeleaf (2)
      • Spring (5)
      • JPA (2)
    • 📖 Book (1)
    • 📃 Certification (6)
      • 정보처리기사 (6)

인기 글

최근 글

최근 댓글

태그

  • CSS
  • Programmers
  • kakao
  • 자바
  • 카카오
  • 코딩테스트
  • 코테
  • til
  • 프로그래머스
  • java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0_ch4n

기계쟁이\n개발자

[81302번] 거리두기 확인하기
🧠 Algorithm/[JAVA] Programmers

[81302번] 거리두기 확인하기

2022. 7. 5. 16:35
반응형

2021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십

 

✔️ 문제 설명

개발자를 희망하는 죠르디가 카카오에 면접을 보러 왔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 응시자들은 거리를 둬서 대기를 해야하는데 개발 직군 면접인 만큼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대기실에 거리를 두고 앉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1. 대기실은 5개이며, 각 대기실은 5x5 크기입니다.

2. 거리두기를 위하여 응시자들 끼리는 맨해튼 거리가 2 이하로 앉지 말아 주세요.

3. 단 응시자가 앉아있는 자리 사이가 파티션으로 막혀 있을 경우에는 허용합니다.

 

멘헤튼 거리는 두 테이블 T1, T2가 행렬 (r1, c1), (r2, c2)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면, T1, T2 사이의 맨해튼 거리는 |r1 - r2| + |c1 - c2| 입니다.

 

예를 들어,

5개의 대기실을 본 죠르디는 각 대기실에서 응시자들이 거리두기를 잘 기키고 있는지 알고 싶어졌습니다. 자리에 앉아있는 응시자들의 정보와 대기실 구조를 대기실별로 담은 2차원 문자열 배열 pla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각 대기실별로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으면 1을, 한 명이라도 지키지 않고 있으면 0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더보기

✔️ 입출력 예

 

입출력 예 #1

첫 번째 대기실

  •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두 번째 대기실

  • (0, 0) 자리의 응시자와 (2, 0)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
  • (1, 2) 자리의 응시자와 (0, 3)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
  • (4, 3) 자리의 응시자와 (4, 4)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

세 번째 대기실

  •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네 번째 대기실

  • 대기실에 응시자가 없으므로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대기실

  •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두 번째 대기실을 제외한 모든 대기실에서 거리두기가 지켜지고 있으므로, 배열 [1, 0, 1, 1, 1]을 return 합니다.

 

✔️ 제한 사항

  • places의 행 길이(대기실 개수) = 5
    • places의 각 행은 하나의 대기실 구조를 나타냅니다.
  • places의 열 길이(대기실 세로 길이) = 5
  • places의 원소는 P,O,X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 places 원소의 길이(대기실 가로 길이) = 5
    • P는 응시자가 앉아있는 자리를 의미합니다.
    • O는 빈 테이블을 의미합니다.
    • X는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 입력으로 주어지는 5개 대기실의 크기는 모두 5x5 입니다.
  • return 값 형식
    • 1차원 정수 배열에 5개의 원소를 담아서 return 합니다.
    • places에 담겨 있는 5개 대기실의 순서대로, 거리두기 준수 여부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습니다.
    • 각 대기실 별로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으면 1을, 한 명이라도 지키지 않고 있으면 0을 담습니다.
  • 정확성 테스트 : 10초

 

✔️ 코드 구상

1. P와 X의 좌표를 구한다.
2. 모든 P 좌표에 대한 멘헤튼 거리를 체크.

2-1. 멘헤튼 거리가 1인 경우 0 처리
2-2. 멘헤튼 거리가 2인 경우 가로, 세로, 대각선(좌상우하, 좌하우상) 케이스를 나누어 파티션 체크

 

✔️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places) {
        int[] answer = new int[] {1,1,1,1,1};

        for(int i = 0; i < places.length; i++) {
            List<String> posList = new ArrayList<>();
            List<String> partitionLlist = new ArrayList<>();

            getList(places[i], posList, partitionLlist);

            if(isClosed(posList, partitionLlist)) {
                answer[i] = 0;
            }
        }

        return answer;
    }

    public void getList(String[] place, List<String> posList, List<String> partitionList) {
        for(int i = 0; i < place.length; i++) {
            for(int j = 0; j < place[i].length(); j++) {
                if(place[i].charAt(j) == 'P') {
                    posList.add(i + "," + j);
                } else if(place[i].charAt(j) == 'X') {
                    partitionList.add(i + "," + j);
                }
            }
        }
    }

    public boolean isClosed(List<String> posList, List<String> partitionList) {
        boolean check = false;

        for(int i = 0; i < posList.size() - 1; i++) {
            for(int j = i + 1; j < posList.size(); j++) {
                String[] pos1 = posList.get(i).split(",");
                String[] pos2 = posList.get(j).split(",");

                int pos1X = Integer.parseInt(pos1[0]);
                int pos1Y = Integer.parseInt(pos1[1]);
                int pos2X = Integer.parseInt(pos2[0]);
                int pos2Y = Integer.parseInt(pos2[1]);

                if((Math.abs(pos1X - pos2X) + Math.abs(pos1Y - pos2Y)) < 2) { //p가 붙어있는 경우
                    check = true;
                } else if((Math.abs(pos1X - pos2X) + Math.abs(pos1Y - pos2Y)) == 2) { //멘하튼 거리 2인 경우
                    if(pos1X == pos2X) { //가로로 멘하튼 거리 2
                        if(!partitionList.contains(pos1X + "," + (pos2Y - 1))) {
                            check = true;
                        }
                    }

                    if(pos1Y == pos2Y) { //세로로 멘하튼 거리 2
                        if(!partitionList.contains((pos2X - 1) + "," + pos1Y)) {
                            check = true;
                        }
                    }

                    if(pos1X + 1 == pos2X && pos1Y + 1 == pos2Y) { //좌상 우하 대각선
                        if(!(partitionList.contains(pos1X + "," + (pos1Y + 1)) && partitionList.contains(pos2X + "," + (pos2Y - 1)))) {
                            check = true;
                        }
                    }

                    if(pos1X + 1 == pos2X && pos1Y - 1 == pos2Y) { //좌하 우상 대각선
                        if(!(partitionList.contains(pos1X + "," + (pos1Y - 1)) && partitionList.contains(pos2X + "," + (pos2Y + 1)))) {
                            check = true;
                        }
                    }
                }
            }
        }

        return check;
    }
}

 

📄 원문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 Algorithm > [JAVA]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84512번] 모음사전  (0) 2022.07.07
[42583번] 다리를 지나는 트럭  (0) 2022.07.06
[92335번]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0) 2022.07.04
[42587번] 프린터  (0) 2022.07.03
[42577번] 전화번호 목록  (0) 2022.07.02
    0_ch4n
    0_ch4n
    while(true) { study(); }

    티스토리툴바